KwanIk Devlog
article thumbnail
스택(Stack)

개요 스택 자료구조에 대해서 알아본다. 스택(Stack)이란? 스택은 데이터를 저장할 객체와 객체에 적용할 수 있는 연산을 함께 정의한 추상 자료형으로써, 앞으로 다룰 큐(Queue), 데크(Deque)와 같이 자료 구조 형태에 이름이 붙었다는 것에서 큰 의의를 갖는 자료형이다. 스택은 너무나도 잘 알려져 있기에 간단하게 특징을 살펴본다. 위 이미지에서 6개의 선으로 간단하게 표현해서 알아보기 힘들 수는 있지만, 아래 용어정의들을 통해서 스택의 개념을 온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. 1. LIFO(Last In First Out) 스택은 한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고 뺄 수 있는데, 가장 늦게 들어간 자료가 가장 먼저 나오게 된다. 2. TOP 한쪽 끝에서만 데이터 입출입이 발생한다고 하였는데, 스..

article thumbnail
[ 백준 2504 ] 괄호의 값 - Stack
Algorithm/문제풀이 2020. 7. 1. 17:52

1. 문제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504 2504번: 괄호의 값 4개의 기호 ‘(’, ‘)’, ‘[’, ‘]’를 이용해서 만들어지는 괄호열 중에서 올바른 괄호열이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. 한 쌍의 괄호로만 이루어진 ‘()’와 ‘[]’는 올바른 괄호열이다. 만일 www.acmicpc.net 2. 풀이 Stack을 응용한 대표적인 문제를 꼽으라면 단연 괄호와 관련된 문제라고 할 수 있다. 괄호의 쌍이 올바르게 되어 있는가를 판단할 때 스택의 특성을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데, 여는 괄호는 스택에 넣고 닫는 괄호는 스택에서 pop을 해 쌍을 확인함으로써 풀이할 수 있다. 문제 해석에 앞서 잠시 올바른 괄호의 쌍인가를 확인하는 코드를 정리하고 간다. // '()' 소..

반응형